>순수히 제가 고찰한 내용입니다.
>좀 이상한 부분이 있어도 이해해 주세요...
>심심해서 적은 잡글입니다..
>죄송합니다..
>
>인간이 앓고 있는 정신병은 모두 2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향적 정신병과 외향적 정신병으로 말입니다.
>외향적 정신병은, 모든 생각들이 자신의 눈에 보이는 외적 상황때문에 자극
>받아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다른 사람을 보았을때 견디기 힘든 적
>은 없었습니까? 그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람들의 행위가 자신이 과거에 했
>던 행위인것 같아서, 사람들의 행위가 어리석고 견딜 수 없어지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 사람들의 천성이 그만큼 풍요로워서 이런 부조화를 가져 왔다고
>생각 할수 있겠지만 이런 부조화는 극심한 발작적 증세를 가져 옵니다.
>어쨋든 외향적 정신병의 특징은 불교에서 말하는 고 라는 계념과 동일 합니다.
>불교는 자신의 영혼을 모든 것으로 넓혀 가는 종교인바, 다른 세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할때 생기는 고통을 집착에 원인을 두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젠 내향적 정신병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자신의 내적인 생각에 강한 영향을 받아 그것에만 자극받아 일어나는 것이
>내향적 정신병 입니다.
>자신의 개성에 집착해 다른 것들은 모두 비천하고 어리석은 것이여서 그들은
>자살을 결심합니다. 하지만 이런 불행한 상황은 나약해져 빠진 극히 시민적인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일입니다. 자신의 개성이 강하고 의지가 강하고 내적인 생각이 강
>한, 영혼이 강한 사람은,-괴팍하게 보일지 몰라도- 삶을 휘어잡을려고
>노력합니다. 이들은 '자아'라는 것을 뼈져리게 인식하고 그것의 완성을 위한
>힘든 길을 떠나게 됩니다. 모든 성인과 작곡가들의 천성은 이런 것입니다.
>이렇게 본다면 내향적 정신병은 정신병이 아닌, 인간의 현상 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내향적인 성향에 의해 다른 세계가 모두 비천하고 어리
>석은 것이라고 느끼고 고통을 받는 경우에는 일종의 정신병이라고 생각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젠 정신병의 해결책을 말하면서 이글을 마칠까 합니다.
>우선 내향적 정신병에 대한 해결책 입니다.
>자신의 자아에만 집착해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구제 할 방법은 다른 세계를
>인정할 수 있게 '인간은 다양하다' 라는 것을 알려 줘야 합니다.
>자신의 세계뿐만이 아니라 다른 세계를 인정하는 것... 이런 과정을 위해선
>엄청난 고통이 동반 되지만 그것을 견디어 내면서 명랑하게 다른 세계로
>뛰어들어 인간을 전체로 고양 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외향적 정신병에 대한 해결책 으로는,
>그들의 외향적 상황에 흔들리기 쉬운 자아를 강하게 단련 기켜 주기 위해서
>꿈과 종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리하여 외적 상황이 인간의 전부가 아니라
>'자신 스스로 일어서려는 것' 이 인간의 위대함 임을 인식 시켜야 합니다.
>그들은 천성이 풍요롭기 때문에 자아완성의 길을 걸어간다면,자신이 격어야
>했던 불교에서 말하는 고 -다른 세계와의 부조화- 는 도리어 인간의 고귀함에
>대한 기억 이라고 말할수 있을 것입니다.
>내향적 정신병자든 외향적 정신병자든 결국은 이런 생각에 도달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인간이란 하나의 시도 이다'
>;여기서 시도란 자아완성을 하려는 인간의 위대함이고
>하나 라는 말은 다른 세계를 이미 인정하고 명랑하게 영혼을 넓히려는 의도가
>다분합니다.
.
>순수히 제가 고찰한 내용입니다.
>좀 이상한 부분이 있어도 이해해 주세요...
>심심해서 적은 잡글입니다..
>죄송합니다..
>
>인간이 앓고 있는 정신병은 모두 2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향적 정신병과 외향적 정신병으로 말입니다.
>외향적 정신병은, 모든 생각들이 자신의 눈에 보이는 외적 상황때문에 자극
>받아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다른 사람을 보았을때 견디기 힘든 적
>은 없었습니까? 그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람들의 행위가 자신이 과거에 했
>던 행위인것 같아서, 사람들의 행위가 어리석고 견딜 수 없어지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 사람들의 천성이 그만큼 풍요로워서 이런 부조화를 가져 왔다고
>생각 할수 있겠지만 이런 부조화는 극심한 발작적 증세를 가져 옵니다.
>어쨋든 외향적 정신병의 특징은 불교에서 말하는 고 라는 계념과 동일 합니다.
>불교는 자신의 영혼을 모든 것으로 넓혀 가는 종교인바, 다른 세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할때 생기는 고통을 집착에 원인을 두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젠 내향적 정신병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자신의 내적인 생각에 강한 영향을 받아 그것에만 자극받아 일어나는 것이
>내향적 정신병 입니다.
>자신의 개성에 집착해 다른 것들은 모두 비천하고 어리석은 것이여서 그들은
>자살을 결심합니다. 하지만 이런 불행한 상황은 나약해져 빠진 극히 시민적인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일입니다. 자신의 개성이 강하고 의지가 강하고 내적인 생각이 강
>한, 영혼이 강한 사람은,-괴팍하게 보일지 몰라도- 삶을 휘어잡을려고
>노력합니다. 이들은 '자아'라는 것을 뼈져리게 인식하고 그것의 완성을 위한
>힘든 길을 떠나게 됩니다. 모든 성인과 작곡가들의 천성은 이런 것입니다.
>이렇게 본다면 내향적 정신병은 정신병이 아닌, 인간의 현상 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내향적인 성향에 의해 다른 세계가 모두 비천하고 어리
>석은 것이라고 느끼고 고통을 받는 경우에는 일종의 정신병이라고 생각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젠 정신병의 해결책을 말하면서 이글을 마칠까 합니다.
>우선 내향적 정신병에 대한 해결책 입니다.
>자신의 자아에만 집착해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구제 할 방법은 다른 세계를
>인정할 수 있게 '인간은 다양하다' 라는 것을 알려 줘야 합니다.
>자신의 세계뿐만이 아니라 다른 세계를 인정하는 것... 이런 과정을 위해선
>엄청난 고통이 동반 되지만 그것을 견디어 내면서 명랑하게 다른 세계로
>뛰어들어 인간을 전체로 고양 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외향적 정신병에 대한 해결책 으로는,
>그들의 외향적 상황에 흔들리기 쉬운 자아를 강하게 단련 기켜 주기 위해서
>꿈과 종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리하여 외적 상황이 인간의 전부가 아니라
>'자신 스스로 일어서려는 것' 이 인간의 위대함 임을 인식 시켜야 합니다.
>그들은 천성이 풍요롭기 때문에 자아완성의 길을 걸어간다면,자신이 격어야
>했던 불교에서 말하는 고 -다른 세계와의 부조화- 는 도리어 인간의 고귀함에
>대한 기억 이라고 말할수 있을 것입니다.
>내향적 정신병자든 외향적 정신병자든 결국은 이런 생각에 도달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인간이란 하나의 시도 이다'
>;여기서 시도란 자아완성을 하려는 인간의 위대함이고
>하나 라는 말은 다른 세계를 이미 인정하고 명랑하게 영혼을 넓히려는 의도가
>다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