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1 | cl*** | |
'15/08/28 | 13383 | |
19140 | ge*** | |
'15/08/28 | 13375 | |
19139 | ge*** | |
'15/08/28 | 13342 | |
19138 | ge*** | |
'15/08/28 | 13355 | |
19137 | yb*** | |
'15/08/27 | 13345 | |
19136 | je*** | |
'15/08/27 | 13367 | |
19135 | ar*** | |
'15/08/27 | 13351 | |
19134 | ha*** | |
'15/08/26 | 13334 | |
19133 | bu*** | |
'15/08/26 | 13368 | |
19132 | pu*** | |
'15/08/26 | 13344 | |
19131 | pu*** | |
'15/08/26 | 13358 | |
19130 | pu*** | |
'15/08/26 | 13336 | |
19129 | pu*** | |
'15/08/26 | 13381 | |
19128 | pu*** | |
'15/08/26 | 13369 | |
19127 | pu*** | |
'15/08/26 | 13370 | |
19126 | pu*** | |
'15/08/26 | 13384 | |
19125 | ar*** | |
'15/08/26 | 13360 | |
19124 | be*** | |
'15/08/26 | 13341 | |
19123 | be*** | |
'15/08/26 | 13446 | |
19121 | sy*** | |
'15/08/26 | 13394 | |
19120 | ho*** | |
'15/08/25 | 13343 | |
19119 | sk*** | |
'15/08/25 | 13345 | |
19118 | sk*** | |
'15/08/25 | 13319 | |
19117 | sk*** | |
'15/08/25 | 13355 | |
19116 | ja*** | |
'15/08/25 | 13328 | 1 |
 |
바리톤 김대수 독창회
Baritone KIM DAESOO Recital
PROFILE
* Baritone 김대수
풍부한 음성과 강렬한 카리스마를 겸비하여, 비르투오조(Virtuoso)적인 학문적 연구와 함께 탁월한 표현력에 의한 음악의 해석으로 세계 유수의 연주자들과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은 바 있는 바리톤 김대수는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한 후 도독하여 에쎈국립음대에서 리트, 오페라과와 함부르크시립음대의 최고연주자과정을 최고점수(Auszeichnung)로 졸업하였다.
재학시절부터 그 음악성과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아 국내외 유수의 콩쿨 및 수많은 콘서트 등을 통해 전문가수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였으며 유학시절에는 폴란드와 루마니아의 국민가수인 F. Sokorska와 G.E. Crasnaru, 세계적인 반주자인 Norman Shetler 등으로부터 극찬을 받았고 세계 인권상시상식 초청연주 등 국제적인 콘서트에도 출연하며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국내에서는 3대 오라토리오인 하이든의 천지창조, 헨델의 메시아, 멘델스존의 엘리아를 국립합창단, 광주시립합창단 등과 협연하였으며 인천시립교향악단과 협연하고 수회의 독창회를 통해 뛰어난 연주로 관객을 사로잡았다.
한국오페라단, 수지오페라단, 빛소리오페라단, 솔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무악오페라단 등에서 10여편의 작품에서 주, 조역으로 출연하여 오페라가수로도 활발히 활동하며 현재 숭실대, 광주대 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현대성악앙상블, 한국슈베르트협회, 예울음악무대에서 학구적 연구를 연계하고 있다.
Piano 한방원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
- 미국 클리블랜드 음악원 피아노 석사, 반주 석사, 반주 Artist Diploma
- 미국,중국,일본 등 국외 리사이틀 반주 200여회
- 국내 리사이틀 반주 150여회
- North Carolina 주립예술대 교수 역임
-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대, 연세대 강사 역임
- 한국반주협회 회장 역임
- 현재 성신여대 대학원 반주학과 교수
PROGRAM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Die Verschweigung KV 518 비밀이야기
Das Lied der Trennung KV 519 이별의 노래
Abendempfindung KV 523 야상
윤이상 (1917-1995)
편지
나그네
김달성 (1921-2010)
동백꽃
엄마야 누나야
김순남 (1917-1983)
산유화
자장가
철공소
INTERMISSION
Hugo Wolf (1860-1903)
Der Musikant 거리의 악사
Der Scholar 학자
Der Glücksritter 포르투나의 기사
Der Schreckenberger 으스쟁이
Die Nacht 밤
Verschwiegene Liebe 말없는 사랑
Ständchen 세레나데
Nachruf 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