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7 | ch*** | |
'14/11/09 | 4417 | 4 |
| ch*** | |
'14/11/10 | 2925 | 3 |
1456 | fa*** | |
'14/11/08 | 6782 | |
1455 | ni*** | |
'14/11/02 | 5751 | |
1454 | js*** | |
'14/10/30 | 5519 | |
1453 | ra*** | |
'14/10/28 | 3852 | |
1452 | ha*** | |
'14/10/26 | 3627 | 5 |
1451 | ra*** | |
'14/10/25 | 5894 | 1 |
1450 | nk*** | |
'14/10/25 | 3444 | |
1449 | mi*** | |
'14/10/21 | 3682 | |
1448 | il*** | |
'14/10/18 | 3455 | 2 |
1447 | kp*** | |
'14/10/17 | 6655 | 4 |
| ha*** | |
'14/10/26 | 3676 | 5 |
1446 | oi*** | |
'14/10/14 | 7817 | 9 |
1445 | au*** | |
'14/10/11 | 4486 | 1 |
1444 | ky*** | |
'14/10/10 | 5339 | 16 |
1443 | ch*** | |
'14/10/10 | 2913 | 4 |
1442 | ha*** | |
'14/10/06 | 3369 | 6 |
1441 | ky*** | |
'14/10/04 | 2688 | 1 |
1440 | ha*** | |
'14/10/02 | 3607 | 4 |
1439 | ha*** | |
'14/09/27 | 5999 | 6 |
1438 | jd*** | |
'14/09/26 | 3237 | |
1437 | jd*** | |
'14/09/25 | 3681 | 3 |
1436 | | |
'14/09/20 | 443 | |
1435 | da*** | |
'14/09/20 | 9325 | 18 |
 |
일전에 S.Richter의 Decca Master 와 Philips The Authorised Recordings 의 차이를
www.goclassic.co.kr/club/board/viewbody1.html
포스팅 한적이 있습니다.
Decca Richter the master
Philips The Authorised Recording
Philips Authorised 21cd-1cd(슈만 앨범 3번째 장이 빠짐) +2cd(Richter in Wien-Prokofiev, Bartok 등)
=Decca the Master 22cd
라고 알려드렸습니다.
2014년 1월에 새로나온 33cd 짜리 Decca Solo Recordings(편의상 Solo로 지칭) 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궁금했습니다. 중복구매를 피하기 위해서죠.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Solo 33cd = (필립스 Authorised 21cd-1cd)+ 데카 Sviatoslav Richter VOL.1-5(6cd)+ 도이치그라모폰 4cd+ new필립스 낱장 음반 3장
-필립스 Authorised 앨범에서 빠진 음반은 베토벤2집에서 2번째 cd(피아노트리오 대공, 5중주op.16)입니다.
아무래도 solo 레코딩이라는 컨셉상 빠진거 같습니다.
-데카의 Sviatoslav Richter Vol.1-5는 기존에 데카레이블로 나온 낱장 실황 모음집입니다.
따로 전집형태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데카 vol.1 (Solo 31번 32번 cd)
데카 vol.2 (Solo 16번 cd)
데카 vol.3 ( Solo 17번 cd)
데카 vol.4( Solo 26번 cd)
데카 vol.5(Solo 12번 cd)
-DG의 경우
이 전집에서 협주곡5장을 제외하고 4장을 가져왔습니다.
1. 슈만 (solo 25번cd)
2. 쇼팽, 드뷔시, 스크랴빈,+ 라흐마니노프(전주곡만) (solo 28번 cd)
3. 하이든, 쇼팽, 드뷔시, 프로코피에프 (Solo 29번 cd)
4. 바흐. 슈베르트, 슈만,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에프( Solo 30번 cd)
- 이제 제일 중요한 추가된 3장의 cd 입니다.
모두 필립스에서 발매되었던 음반입니다.
-베토벤- 디아벨리변주곡 (Solo cd 8)
-모차르트 소나타 K. 282, 310, 545 (Solo 21cd)
- 소피아 리사이틀(Solo 33cd)
결론적으로
데카 마스터 22cd 를 전부 포함하고 있고
DG 의 9장 앨범에서 독주는 전부 포함(협주곡만 제외)
필립스 the Authorised Recordings 에서는 베토벤 대공 음반 제외하고 전부
+ 필립스 낱장 3장(디아벨리, 모차282, 소피아)
+ 데카 리히터 시리즈 vol.1-5
이런 구성입니다.
필립스 the Authorised 는 대공음반이 빠짐으로서, 컬렉터에게는 안도감을 주고있네요.
저번에 데카마스터에서도 의도적인건지 한 장(슈만앨범)을 빼더니.
개인적으론, 가장 전설적인 소피아 실황앨범을 33번째 마지막에 배치한것이 인상깊고,
평소 구하기 힘들었던 디아벨리변주곡이나 21번 cd 의 모차르트 소나타 등 때문에,
필요한 전집이 되어 버렸네요.
-추가>
특기사항
1. 이 앨범이 유니버셜의(DG, DECCA, PHILIPS )의 '모든' 솔로앨범인가?
--> 그런거 같습니다. 제가 다는 확인 못해봤지만, 확실한건 DG 와 DECCA 레이블로 나온 건 다 들어있습니다. PHILIPS 의 경우는 LP 를 제외하고는 다 들어있는거 같습니다.
그렇지만, 큰 의미는 없는게, '솔로' 레코딩만 따로 모으지는 않고, '리히터' 라면 다 모으기 때문에, 결국은 진정한 의미의 (협주곡, 실내악을 포함한) '컴플리트' 전집이 나올것으로 보입니다.
2. 그렇기에 레퍼토리가 겹치는게 꽤 있습니다.
전집의 경우, 레퍼토리가 겹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만,
레이블이 다른것들을 모아서인지, 겹치는 레퍼토리가 있습니다.
"included in more than one version"
이라고 대놓고 적어놨습니다. 몇 개 비교해보지만, 비슷한 시절의 녹음이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브람스 1-2번 소나타
하이든 소나타
슈만 march
리스트 초절기교 등이 그것들입니다. 실제 cd 로는 몇 장 안되는 분량이라 신경쓸만큼은 아닙니다.
3. 기존 구입자들의 고민
-DECCA 22 장을 구매하신 분은 그걸 팔고 이걸 구매하시는게 낫습니다.(모두 포함되어 있음)
-DG 9장을 구매하신분도 그걸 팔고 이걸 구매하시는게 낫습니다. (협주곡은 따로 구하기가 매우 쉬움)
-PHILIPS 를 구매하신 분은, 고민이 됩니다. 새로 추가된 것 중에 MOZART 앨범과 DECCA 낱장이 조금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요.
-어차피 다 모으기 힘든 리히터 앨범인데, 제 예상대로. 기다리시는것도 좋습니다. 진정한 '컴플리트 전집' 이 나올때 까지.